1244번: 스위치 켜고 끄기
문제 )
1부터 연속적으로 번호가 붙어있는 스위치들이 있다. 스위치는 켜져 있거나 꺼져있는 상태이다. <그림 1>에 스위치 8개의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1’은 스위치가 켜져 있음을, ‘0’은 꺼져 있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학생 몇 명을 뽑아서, 학생들에게 1 이상이고 스위치 개수 이하인 자연수를 하나씩 나누어주었다. 학생들은 자신의 성별과 받은 수에 따라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스위치를 조작하게 된다.
남학생은 스위치 번호가 자기가 받은 수의 배수이면, 그 스위치의 상태를 바꾼다. 즉, 스위치가 켜져 있으면 끄고, 꺼져 있으면 켠다. <그림 1>과 같은 상태에서 남학생이 3을 받았다면, 이 학생은 <그림 2>와 같이 3번, 6번 스위치의 상태를 바꾼다.
여학생은 자기가 받은 수와 같은 번호가 붙은 스위치를 중심으로 좌우가 대칭이면서 가장 많은 스위치를 포함하는 구간을 찾아서, 그 구간에 속한 스위치의 상태를 모두 바꾼다. 이때 구간에 속한 스위치 개수는 항상 홀수가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1ML4c/btrsW9hIzki/GRSjlkRQ190fzlHH9KHXkk/img.png)
예를 들어 <그림 2>에서 여학생이 3을 받았다면, 3번 스위치를 중심으로 2번, 4번 스위치의 상태가 같고 1번, 5번 스위치의 상태가 같으므로, <그림 3>과 같이 1번부터 5번까지 스위치의 상태를 모두 바꾼다. 만약 <그림 2>에서 여학생이 4를 받았다면, 3번, 5번 스위치의 상태가 서로 다르므로 4번 스위치의 상태만 바꾼다.
![](https://blog.kakaocdn.net/dn/byuNz0/btrsTcl8LNq/dyV4KZ8pkfcd7ctCekqdU0/img.png)
입력으로 스위치들의 처음 상태가 주어지고, 각 학생의 성별과 받은 수가 주어진다. 학생들은 입력되는 순서대로 자기의 성별과 받은 수에 따라 스위치의 상태를 바꾸었을 때, 스위치들의 마지막 상태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
첫째 줄에는 스위치 개수가 주어진다. 스위치 개수는 100 이하인 양의 정수이다. 둘째 줄에는 각 스위치의 상태가 주어진다. 켜져 있으면 1, 꺼져있으면 0이라고 표시하고 사이에 빈칸이 하나씩 있다. 셋째 줄에는 학생수가 주어진다. 학생수는 100 이하인 양의 정수이다. 넷째 줄부터 마지막 줄까지 한 줄에 한 학생의 성별, 학생이 받은 수가 주어진다. 남학생은 1로, 여학생은 2로 표시하고, 학생이 받은 수는 스위치 개수 이하인 양의 정수이다. 학생의 성별과 받은 수 사이에 빈칸이 하나씩 있다.
출력 :
스위치의 상태를 1번 스위치에서 시작하여 마지막 스위치까지 한 줄에 20개씩 출력한다. 예를 들어 21번 스위치가 있다면 이 스위치의 상태는 둘째 줄 맨 앞에 출력한다. 켜진 스위치는 1, 꺼진 스위치는 0으로 표시하고, 스위치 상태 사이에 빈칸을 하나씩 둔다.
풀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n = int(input())
switch = list(map(int, input().split()))
switch = [-1] + switch + [-1]
# 계산 편의를 위해 앞뒤로 의미없는 값 추가
student = int(input())
for _ in range(student):
o, k = map(int, input().split())
if o == 1: # 남자인 경우
for i in range(k, len(switch), k): #배수 이용 스위치 바꾸기
if switch[i] == 1:
switch[i] = 0
else:
switch[i] = 1
else: # 여자인 경우
a = 1
switch[0], switch[-1] = -1, -1
# 앞서 남자 케이스에서 1이나 0으로 바뀌어 오류가 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while switch[k - a] == switch[k + a]:
if switch[k - a] == 0:
switch[k - a], switch[k + a] = 1, 1
a += 1
else:
switch[k - a], switch[k + a] = 0, 0
a += 1
if switch[k] == 0:
switch[k] = 1
else:
switch[k] = 0
for i in range(1, len(switch)-1):
print(switch[i], end=" ")
if i % 20 == 0:
print()
|
cs |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244
1244번: 스위치 켜고 끄기
첫째 줄에는 스위치 개수가 주어진다. 스위치 개수는 100 이하인 양의 정수이다. 둘째 줄에는 각 스위치의 상태가 주어진다. 켜져 있으면 1, 꺼져있으면 0이라고 표시하고 사이에 빈칸이 하나씩
www.acmicpc.net
'Develop > 백준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559번: 수열 (python) (0) | 2022.02.10 |
---|---|
[백준] 2628번: 종이자르기 (python) (0) | 2022.02.10 |
[백준] 2635번: 수 이어가기 (python) (0) | 2022.02.09 |
[백준] 2309번: 일곱 난쟁이 (python) (0) | 2022.02.09 |
[백준] 1541번: 잃어버린 괄호 (python) (0) | 2022.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