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wea74

[SW Expert Academy] 1238. contact 1238. contact 문제) [예시] 아래는 비상연락망을 나타낸 그림이다. 각 원은 개개인을 의미하며, 원 안의 숫자는 그사람의 번호를 나타내고 빨간원은 연락을 시작하는 당번을 의미한다. 화살표는 연락이 가능한 방향을 의미한다. 위의 예시에서는 7번과 1번은 서로 연락이 가능하다, 하지만 2번과 7번의 경우 2번은 7번에게 연락할 수 있지만 7번은 2번에게 연락할 수 없다. 비상연락망이 가동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연락을 시작하는 당번인 2번은 연락 가능한 7번과 15번에 동시에 연락을 취한다 (다자 간 통화를 사용한다고 가정). 그 다음 아래와 같이 7번은 1번에게, 15번은 4번에게 연락을 취한다 (이 과정은 동시에 일어난다고 가정한다). 그 다음 아래와 같이 1번은 8번과 17번에게 동시에 연락하.. 2022. 3. 18.
[SW Expert Academy] 5178. 노드의 합 5178. 노드의 합 문제) 완전 이진 트리의 리프 노드에 1000이하의 자연수가 저장되어 있고, 리프 노드를 제외한 노드에는 자식 노드에 저장된 값의 합이 들어있다고 한다. 다음은 리프 노드에 저장된 1, 2, 3이 주어졌을 때, 나머지 노드에 자식 노드의 합을 저장한 예이다. N개의 노드를 갖는 완전 이진 트리의 노드 번호는 루트가 1번이 되며, 같은 단계에서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증가, 단계가 꽉 차면 다음단계의 왼쪽부터 시작된다. 완전 이진 트리의 특성상 1번부터 N번까지 빠지는 노드 번호는 없다. 리프 노드의 번호와 저장된 값이 주어지면 나머지 노드에 자식 노드 값의 합을 저장한 다음, 지정한 노드 번호에 저장된 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 하시오. [입력] 첫 줄에 테스트케이스의 수 T가 주.. 2022. 3. 17.
[SW Expert Academy] 5177. 이진 힙 5177. 이진 힙 문제) 이진 최소힙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항상 완전 이진 트리를 유지하기 위해 마지막 노드 뒤에 새 노드를 추가한다. - 부모 노드의 값 2022. 3. 17.
[SW Expert Academy] 5176. 이진탐색 5176. 이진탐색 문제) 1부터 N까지의 자연수를 이진 탐색 트리에 저장하려고 한다. 이진 탐색 트리는 어떤 경우에도 저장된 값이 왼쪽 서브트리의 루트 2022.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