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351 [백준] 13702번: 이상한 술집 (python) 13702번: 이상한 술집 문제 ) 프로그래밍 대회 전날, 은상과 친구들은 이상한 술집에 모였다. 이 술집에서 막걸리를 시키면 주전자의 용량은 똑같았으나 안에 들어 있는 막걸리 용량은 랜덤이다. 즉 한 번 주문에 막걸리 용량이 802ml 이기도 1002ml가 나오기도 한다. 은상은 막걸리 N 주전자를 주문하고, 자신을 포함한 친구들 K명에게 막걸리를 똑같은 양으로 나눠주려고 한다. 그런데 은상과 친구들은 다른 주전자의 막걸리가 섞이는 것이 싫어서, 분배 후 주전자에 막걸리가 조금 남아 있다면 그냥 막걸리를 버리기로 한다. (즉, 한 번 주문한 막걸리에 남은 것을 모아서 친구들에게 다시 주는 경우는 없다. 예를 들어 5명이 3 주전자를 주문하여 1002, 802, 705 ml의 막걸리가 각 주전자에 담겨져.. 2022. 3. 25. [백준] 2792번: 보석 상자 (python) 2792번: 보석 상자 문제 ) 보석 공장에서 보석 상자를 유치원에 기증했다. 각각의 보석은 M가지 서로 다른 색상 중 한 색상이다. 원장 선생님은 모든 보석을 N명의 학생들에게 나누어 주려고 한다. 이때, 보석을 받지 못하는 학생이 있어도 된다. 하지만, 학생은 항상 같은 색상의 보석만 가져간다. 한 아이가 너무 많은 보석을 가져가게 되면, 다른 아이들이 질투를 한다. 원장 선생님은 이런 질투심을 수치화하는데 성공했는데, 질투심은 가장 많은 보석을 가져간 학생이 가지고 있는 보석의 개수이다. 원장 선생님은 질투심이 최소가 되게 보석을 나누어 주려고 한다. 상자에 빨간 보석이 4개 (RRRR), 파란 보석이 7개 (BBBBBBB) 있었고, 이 보석을 5명의 아이들에게 나누어 주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RR.. 2022. 3. 25. [백준] 18113번: 그르다 김가놈 (python) 18113번: 그르다 김가놈 문제 ) 정래는 김밥가게 “그르다 김가놈”에 납품할 김밥을 만드는 김밥 공장을 운영한다. 정래는 김밥 양쪽 끝을 “꼬다리”라고 부른다. 그리고 꼬다리를 잘라낸 김밥을 “손질된 김밥”이라고 부른다. 공장에서는 김밥 N개에 대해서, 김밥 꼬다리를 잘라내고 손질된 김밥을 김밥조각으로 만드는 작업을 한다. 꼬다리를 잘라낼 때에는 양쪽에서 균일하게 K cm만큼 잘라낸다. 만약 김밥의 길이가 2K cm보다 짧아서 한쪽밖에 자르지 못한다면, 한쪽만 꼬다리를 잘라낸다. 김밥 길이가 K cm이거나 그보다 짧으면 그 김밥은 폐기한다. 손질된 김밥들은 모두 일정한 길이 P로 잘라서 P cm의 김밥조각들로 만든다. P는 양의 정수여야 한다. 정래는 일정한 길이 P cm로 자른 김밥조각을 최소 M개.. 2022. 3. 25. [SW Expert Academy] 4615. 오셀로 게임 4615. 오셀로 게임 문제) 오셀로라는 게임은 흑돌과 백돌을 가진 사람이 번갈아가며 보드에 돌을 놓아서 최종적으로 보드에 자신의 돌이 많은 사람이 이기는 게임이다. 보드는 4x4, 6x6, 8x8(가로, 세로 길이) 크기를 사용한다. 6x6 보드에서 게임을 할 때, 처음에 플레이어는 다음과 같이 돌을 놓고 시작한다(B : 흑돌, W : 백돌). 4x4, 8x8 보드에서도 동일하게 정가운데에 아래와 같이 배치하고 시작한다. 그리고 흑, 백이 번갈아가며 돌을 놓는다. 처음엔 흑부터 시작하는데 이 때 흑이 돌을 놓을 수 있는 곳은 다음과 같이 4군데이다. 플레이어는 빈공간에 돌을 놓을 수 있다. 단, 자신이 놓을 돌과 자신의 돌 사이에 상대편의 돌이 있을 경우에만 그 곳에 돌을 놓을 수 있고, 그 때의 상대.. 2022. 3. 25.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