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원 산책 / Lv.1
문제 설명 )
지나다니는 길을 'O', 장애물을 'X'로 나타낸 직사각형 격자 모양의 공원에서 로봇 강아지가 산책을 하려합니다. 산책은 로봇 강아지에 미리 입력된 명령에 따라 진행하며, 명령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주어집니다.
- ["방향 거리", "방향 거리" … ]
예를 들어 "E 5"는 로봇 강아지가 현재 위치에서 동쪽으로 5칸 이동했다는 의미입니다. 로봇 강아지는 명령을 수행하기 전에 다음 두 가지를 먼저 확인합니다.
- 주어진 방향으로 이동할 때 공원을 벗어나는지 확인합니다.
- 주어진 방향으로 이동 중 장애물을 만나는지 확인합니다.
위 두 가지중 어느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로봇 강아지는 해당 명령을 무시하고 다음 명령을 수행합니다.
공원의 가로 길이가 W, 세로 길이가 H라고 할 때, 공원의 좌측 상단의 좌표는 (0, 0), 우측 하단의 좌표는 (H - 1, W - 1) 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BM3M1/btr6Ol4gu2l/Mj0ntK14ORuhckJtMBGKeK/img.png)
공원을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park, 로봇 강아지가 수행할 명령이 담긴 문자열 배열 rout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로봇 강아지가 모든 명령을 수행 후 놓인 위치를 [세로 방향 좌표, 가로 방향 좌표] 순으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
- 3 ≤ park의 길이 ≤ 50
- 3 ≤ park[i]의 길이 ≤ 50
- park[i]는 다음 문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작지점은 하나만 주어집니다.
- S : 시작 지점
- O : 이동 가능한 통로
- X : 장애물
- park[i]는 다음 문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작지점은 하나만 주어집니다.
- park는 직사각형 모양입니다.
- 3 ≤ park[i]의 길이 ≤ 50
- 1 ≤ routes의 길이 ≤ 50
- routes의 각 원소는 로봇 강아지가 수행할 명령어를 나타냅니다.
- 로봇 강아지는 routes의 첫 번째 원소부터 순서대로 명령을 수행합니다.
- routes의 원소는 "op n"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op는 이동할 방향, n은 이동할 칸의 수를 의미합니다.
- op는 다음 네 가지중 하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N : 북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
- S : 남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
- W : 서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
- E : 동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
- 1 ≤ n ≤ 9
- op는 다음 네 가지중 하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
입출력 예 설명 )
입출력 예 #1
입력된 명령대로 동쪽으로 2칸, 남쪽으로 2칸, 서쪽으로 1칸 이동하면 [0,0] -> [0,2] -> [2,2] -> [2,1]이 됩니다.
입출력 예 #2
입력된 명령대로라면 동쪽으로 2칸, 남쪽으로 2칸, 서쪽으로 1칸 이동해야하지만 남쪽으로 2칸 이동할 때 장애물이 있는 칸을 지나기 때문에 해당 명령을 제외한 명령들만 따릅니다. 결과적으로는 [0,0] -> [0,2] -> [0,1]이 됩니다.
입출력 예 #3
처음 입력된 명령은 공원을 나가게 되고 두 번째로 입력된 명령 또한 장애물을 지나가게 되므로 두 입력은 제외한 세 번째 명령만 따르므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0,1] -> [0,0]
풀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sstream>
using namespace std;
vector<string> park;
void moving(vector<int> &answer, string route)
{
// route가 string으로 주어지므로,
// stringstream을 통해 입력받아 변수로 만든다.
stringstream ss;
ss.str(route);
string direction;
int distance;
ss >> direction;
ss >> distance;
// 방향에 따른 move 설정
int move[2];
if (direction == "N") move[0] = -1, move[1] = 0;
else if (direction == "E") move[0] = 0, move[1] = 1;
else if (direction == "S") move[0] = 1, move[1] = 0;
else if (direction == "W") move[0] = 0, move[1] = -1;
int x = answer[0];
int y = answer[1];
for(int i = 0; i < distance; i++)
{
int dx = x + move[0];
int dy = y + move[1];
// 장애물을 만날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일일이 이동해가면서 확인
if ((-1 < dx && dx < park.size())
&& (-1 < dy && dy < park[0].length())
&& (park[dx][dy] != 'X'))
{
x = dx;
y = dy;
}
else
{ // 장애물을 나가거나 길 밖으로 나간다면
// answer의 변화 없이 return
return;
}
}
// answer를 바꿔준다.
answer[0] = x;
answer[1] = y;
return;
}
vector<int> solution(vector<string> park, vector<string> routes) {
vector<int> answer;
// 시작 지점 찾기
for(int i = 0; i < park.size(); i++)
{
for(int j = 0; j < park[0].length(); j++)
{
if (park[i][j] == 'S')
{
answer = vector<int> {i, j};
break;
}
}
}
// park를 전역변수로 만들어 다른 함수에서 활용
::park = park;
// routes에 맞춰 이동
for(int i = 0; i < routes.size(); i++)
{
moving(answer, routes[i]);
}
return answer;
}
|
cs |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2928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Develop > 프로그래머스 (Cp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오픈채팅방 (C++) (0) | 2023.03.30 |
---|---|
[프로그래머스] 주차 요금 계산 (C++) (0) | 2023.03.29 |
[프로그래머스] 덧칠하기 (C++) (0) | 2023.03.29 |
[프로그래머스] 주식가격 (C++) (0) | 2023.03.28 |
[프로그래머스] [3차] n진수 게임 (C++) (0) | 2023.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