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95번: 먹을 것인가 먹힐 것인가
문제 )
심해에는 두 종류의 생명체 A와 B가 존재한다. A는 B를 먹는다. A는 자기보다 크기가 작은 먹이만 먹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의 크기가 {8, 1, 7, 3, 1}이고, B의 크기가 {3, 6, 1}인 경우에 A가 B를 먹을 수 있는 쌍의 개수는 7가지가 있다. 8-3, 8-6, 8-1, 7-3, 7-6, 7-1, 3-1.
![](https://blog.kakaocdn.net/dn/qsOyx/btrtwK2KR63/dD2teFwnVFkoyJW7VfK9rk/img.png)
두 생명체 A와 B의 크기가 주어졌을 때, A의 크기가 B보다 큰 쌍이 몇 개나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A의 수 N과 B의 수 M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A의 크기가 모두 주어지며, 셋째 줄에는 B의 크기가 모두 주어진다. 크기는 양의 정수이다. (1 ≤ N, M ≤ 20,000)
출력 :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A가 B보다 큰 쌍의 개수를 출력한다.
풀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T = int(input())
for _ in range(T):
n, m = map(int, input().split())
li_1 = list(map(int, input().split()))
li_2 = list(map(int, input().split()))
li_1.sort()
li_2.sort(reverse = True)
s = 0
e = 0
cnt = 0
while s < n:
if li_1[s] > li_2[e]:
cnt += m - e # 해당 줄 모두 스킵
s += 1 # 다음 순회
e = 0 # e 초기화
continue
e += 1 # 큰 값을 못 찾았을 때
if e >= m: # e가 끝까지 갔을 경우
s += 1
e = 0
print(cnt)
|
cs |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7795
7795번: 먹을 것인가 먹힐 것인가
심해에는 두 종류의 생명체 A와 B가 존재한다. A는 B를 먹는다. A는 자기보다 크기가 작은 먹이만 먹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의 크기가 {8, 1, 7, 3, 1}이고, B의 크기가 {3, 6, 1}인 경우에 A가 B를 먹을
www.acmicpc.net
'Develop > 백준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644번: 소수의 연속합 (python) (0) | 2022.02.18 |
---|---|
[백준] 2470번: 두 용액 (python) (0) | 2022.02.17 |
[백준] 2003번: 수들의 합 2 (python) (0) | 2022.02.17 |
[백준] 16472번: 고냥이 (python) (0) | 2022.02.16 |
[백준] 2116번: 주사위 쌓기 (python) (0) | 2022.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