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637번: 괄호 추가하기
문제)
길이가 N인 수식이 있다. 수식은 0보다 크거나 같고, 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와 연산자(+, -, ×)로 이루어져 있다. 연산자 우선순위는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수식을 계산할 때는 왼쪽에서부터 순서대로 계산해야 한다. 예를 들어, 3+8×7-9×2의 결과는 136이다.
수식에 괄호를 추가하면, 괄호 안에 들어있는 식은 먼저 계산해야 한다. 단, 괄호 안에는 연산자가 하나만 들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3+8×7-9×2에 괄호를 3+(8×7)-(9×2)와 같이 추가했으면, 식의 결과는 41이 된다. 하지만, 중첩된 괄호는 사용할 수 없다. 즉, 3+((8×7)-9)×2, 3+((8×7)-(9×2))은 모두 괄호 안에 괄호가 있기 때문에, 올바른 식이 아니다.
수식이 주어졌을 때, 괄호를 적절히 추가해 만들 수 있는 식의 결과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추가하는 괄호 개수의 제한은 없으며,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입력 :
첫째 줄에 수식의 길이 N(1 ≤ N ≤ 19)가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수식이 주어진다. 수식에 포함된 정수는 모두 0보다 크거나 같고, 9보다 작거나 같다. 문자열은 정수로 시작하고, 연산자와 정수가 번갈아가면서 나온다. 연산자는 +, -, * 중 하나이다. 여기서 *는 곱하기 연산을 나타내는 × 연산이다. 항상 올바른 수식만 주어지기 때문에, N은 홀수이다.
출력 :
첫째 줄에 괄호를 적절히 추가해서 얻을 수 있는 결과의 최댓값을 출력한다. 정답은 231보다 작고, -231보다 크다.
풀이)
괄호를 추가했을 때와, 추가하지 않았을 때의 상태를 가정하여 dfs를 진행했다.
괄호를 추가했다고 가정했을 때는 현재 위치에 +4를 하여 -1, -3 상태의 숫자를 먼저 temp에 구해 이전 결과에 연산해주었고,
추가하지 않았다고 가정했을 경우에는 차근차근 연산자를 이용하여 연산해주었다.
이 문제에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cnt가 n에 도달했을 때, 마지막 연산을 빼먹는 경우가 있었을 경우였다.
이는 내가 cnt, 즉 현재 보고 있는 문자를 제대로 체크하지 못해서였다.
소스코드는 다음과 같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include <limits.h>
using namespace std;
int n;
// 식의 최댓값을 구해야 함.
int ans = INT_MIN;
string modi;
void dfs(int result, int cnt, bool flag)
{
if (cnt > n)
{
ans = max(result, ans);
return;
}
// 괄호를 안 친 경우
if (flag == 0)
{
if (modi[cnt - 1] == '+')
{
result = result + (modi[cnt] - '0');
dfs(result, cnt + 2, 0);
if (cnt + 4 <= n)
{
dfs(result, cnt + 4, 1);
}
}
else if (modi[cnt - 1] == '-')
{
result = result - (modi[cnt] - '0');
dfs(result, cnt + 2, 0);
if (cnt + 4 <= n)
{
dfs(result, cnt + 4, 1);
}
}
else if (modi[cnt - 1] == '*')
{
result = result * (modi[cnt] - '0');
dfs(result, cnt + 2, 0);
if (cnt + 4 <= n)
{
dfs(result, cnt + 4, 1);
}
}
}
else // 괄호를 친 경우, 닫아야 함.
{
int temp;
if (modi[cnt - 1] == '+')
{
temp = (modi[cnt - 2] - '0') + (modi[cnt] - '0');
}
else if (modi[cnt - 1] == '-')
{
temp = (modi[cnt - 2] - '0') - (modi[cnt] - '0');
}
else if (modi[cnt - 1] == '*')
{
temp = (modi[cnt - 2] - '0') * (modi[cnt] - '0');
}
if (modi[cnt - 3] == '+')
{
result = result + temp;
}
else if (modi[cnt - 3] == '-')
{
result = result - temp;
}
else if (modi[cnt - 3] == '*')
{
result = result * temp;
}
dfs(result, cnt + 2, 0);
if (cnt + 4 <= n)
{
dfs(result, cnt + 4, 1);
}
}
}
int main()
{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cin.tie(0); cout.tie(0);
cin >> n;
cin >> modi;
if (n >= 4)
{ // n이 4 이상일 경우, 괄호의 여부가 나뉘어진다.
dfs(stoi(modi.substr(0, 1)), 2, false);
dfs(stoi(modi.substr(0, 1)), 4, true);
}
else if (n == 3)
{ // n == 3일 경우 괄호가 의미가 없음
dfs(stoi(modi.substr(0, 1)), 2, false);
}
else
{
cout << modi;
return 0;
}
cout << ans;
return 0;
}
|
cs |
+ 좀 더 쉬운 풀이
이 풀이에서는 oper에 따른 연산을 모듈화하고, 더 읽기 쉽고 이해하기 편하도록 재귀함수를 이용하여 소스코드가 짜여져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string>
#include <algorithm>
#include <limits.h>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nums;
vector<char> opers;
int n;
string temp;
int ans = INT_MIN;
int operating(char a, int b, int c)
{
if (a == '+') return b + c;
if (a == '-') return b - c;
if (a == '*') return b * c;
}
void go(int here, int result)
{
if (here == nums.size() - 1)
{
ans = max(ans, result);
return;
}
go(here + 1, operating(opers[here], result, nums[here + 1]));
if (here + 2 <= nums.size() - 1)
{
int temp = operating(opers[here + 1], nums[here + 1], nums[here + 2]);
go(here + 2, operating(opers[here], result, temp));
}
return;
}
int main()
{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cin.tie(0); cout.tie(0);
cin >> n;
cin >> temp;
for (int i = 0; i < temp.length(); i++)
{
if (i % 2 == 0) nums.push_back(temp[i] - '0');
else opers.push_back(temp[i]);
}
go(0, nums[0]);
cout << ans;
return 0;
}
|
cs |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6637
16637번: 괄호 추가하기
첫째 줄에 수식의 길이 N(1 ≤ N ≤ 19)가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수식이 주어진다. 수식에 포함된 정수는 모두 0보다 크거나 같고, 9보다 작거나 같다. 문자열은 정수로 시작하고, 연산자와 정수가
www.acmicpc.net
'Develop > 백준 (Cp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3913번: 숨바꼭질 4 (C++) (0) | 2023.07.11 |
---|---|
[백준] 12851번: 숨바꼭질 2 (C++) (0) | 2023.07.11 |
[백준] 12869번: 뮤탈리스크 (C++) (0) | 2023.07.10 |
[백준] 4179번: 불! (C++) (0) | 2023.07.07 |
[백준] 16234번: 인구 이동 (C++) (0) | 2023.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