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301번: 타일 장식물
문제 )
대구 달성공원에 놀러 온 지수는 최근에 새로 만든 타일 장식물을 보게 되었다. 타일 장식물은 정사각형 타일을 붙여 만든 형태였는데, 한 변이 1인 정사각형 타일부터 시작하여 마치 앵무조개의 나선 모양처럼 점점 큰 타일을 붙인 형태였다. 타일 장식물의 일부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https://blog.kakaocdn.net/dn/mQYFN/btrtXx28u0H/NIBXJjFUbbtVAZS8o5coo0/img.png)
그림에서 타일에 적힌 수는 각 타일의 한 변의 길이를 나타낸다. 타일 장식물을 구성하는 정사각형 타일 한 변의 길이를 안쪽 타일부터 시작하여 차례로 적으면 다음과 같다.
1, 1, 2, 3, 5, 8, ...
지수는 문득 이러한 타일들로 구성되는 큰 직사각형의 둘레가 궁금해졌다. 예를 들어, 처음 다섯개의 타일이 구성하는 직사각형(위에서 빨간색으로 표시한 직사각형)의 둘레는 26이다.
타일의 개수 N(1 ≤ N ≤ 80)이 주어졌을 때, N개의 타일로 구성된 직사각형의 둘레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
표준 입력으로 다음 정보가 주어진다. 입력은 한 줄로 구성되며 이 줄에는 타일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N(1 ≤ N ≤ 80)이 주어진다.
출력 :
표준 출력으로 N 개의 타일이 구성하는 타일 장식물 직사각형의 둘레를 출력한다.
64비트 정수형인 “long long” 자료형을 써야할 수 있음
풀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n = int(input())
li = [0, 1]
# 기본적으로 피보나치 배열을 가지고 있음.
# 따라서 해당 인덱스 n까지에 대해 피보나치 배열을 만들어준다.
if n < 2:
pass
else:
i = 1
while i != n:
li.append(li[i] + li[i - 1])
i += 1
# 피보나치 배열이 완성되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정답을 만들어 내야함.
# print(li[n])
if n == 1:
print(4)
else: # n == 1 경우를 제외하고 아래의 식이 정답이 된다.
size = ((li[n] * 3) + (li[n - 1] * 2) + (li[n - 2] * 2) + li[n - 3])
print(size)
|
cs |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3301
13301번: 타일 장식물
대구 달성공원에 놀러 온 지수는 최근에 새로 만든 타일 장식물을 보게 되었다. 타일 장식물은 정사각형 타일을 붙여 만든 형태였는데, 한 변이 1인 정사각형 타일부터 시작하여 마치 앵무조개
www.acmicpc.net
'Develop > 백준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5312번: 이름 궁합 (python) (0) | 2022.02.22 |
---|---|
[백준] 17202번: 핸드폰 번호 궁합 (python) (0) | 2022.02.22 |
[백준] 9625번: BABBA (python) (0) | 2022.02.22 |
[백준] 2748번: 피보나치 수 2 (python) (0) | 2022.02.22 |
[백준] 4108번: 지뢰찾기 (python) (0) | 2022.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