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60번: DFS와 BFS
문제 )
그래프를 DFS로 탐색한 결과와 BFS로 탐색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방문할 수 있는 정점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정점 번호가 작은 것을 먼저 방문하고, 더 이상 방문할 수 있는 점이 없는 경우 종료한다. 정점 번호는 1번부터 N번까지이다.
입력 :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1 ≤ N ≤ 1,000), 간선의 개수 M(1 ≤ M ≤ 10,000), 탐색을 시작할 정점의 번호 V가 주어진다. 다음 M개의 줄에는 간선이 연결하는 두 정점의 번호가 주어진다. 어떤 두 정점 사이에 여러 개의 간선이 있을 수 있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간선은 양방향이다.
출력 :
첫째 줄에 DFS를 수행한 결과를, 그 다음 줄에는 BFS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 V부터 방문된 점을 순서대로 출력하면 된다.
풀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def DFS(v): # v 시작 정점.
global visited_DFS
stack = [v] # DFS이므로 queue 사용
while stack:
v = stack.pop()
if not visited_DFS[v]:
visited_DFS[v] = 1
print(v, end=" ")
for j in range(1, n + 1)[::-1]: # 정점번호가 작은 것부터 출력
if g[v][j] == 1 and not visited_DFS[j]:
stack.append(j)
#############################################################################
def BFS(v):
global visited_BFS
queue = [v] # BFS이므로 queue 사용
while queue:
v = queue.pop(0)
if not visited_BFS[v]:
visited_BFS[v] = 1
print(v, end=" ")
for j in range(1, n + 1):
if g[v][j] == 1 and not visited_BFS[j]:
queue.append(j)
#############################################################################
n, m, v = map(int, input().split())
# 인접행렬 리스트를 이용해서 풀어보자.
g = [[0] * (n + 1) for i in range(n + 1)]
for i in range(m):
a, b = map(int, input().split())
g[a][b], g[b][a] = 1, 1 # 양방향 간선이므로.
visited_DFS = [False for i in range(n + 1)]
visited_BFS = [False for i in range(n + 1)]
DFS(v)
print()
BFS(v)
|
cs |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260
1260번: DFS와 BFS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1 ≤ N ≤ 1,000), 간선의 개수 M(1 ≤ M ≤ 10,000), 탐색을 시작할 정점의 번호 V가 주어진다. 다음 M개의 줄에는 간선이 연결하는 두 정점의 번호가 주어진다. 어떤 두 정점 사
www.acmicpc.net
'Develop > 백준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178번: 미로 탐색 (python) (0) | 2022.02.27 |
---|---|
[백준] 17298번: 오큰수 (python) (0) | 2022.02.27 |
[백준] 14888번: 연산자 끼워넣기 (python) (0) | 2022.02.26 |
[백준] 15652번: N과 M (4) (python) (0) | 2022.02.26 |
[백준] 15651번: N과 M (3) (python) (0) | 2022.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