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FS33

[백준] 7562번 : 나이트의 이동 (C++) 7562번 : 나이트의 이동 문제) 체스판 위에 한 나이트가 놓여져 있다. 나이트가 한 번에 이동할 수 있는 칸은 아래 그림에 나와있다. 나이트가 이동하려고 하는 칸이 주어진다. 나이트는 몇 번 움직이면 이 칸으로 이동할 수 있을까? 입력 : 입력의 첫째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세 줄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 줄에는 체스판의 한 변의 길이 l(4 ≤ l ≤ 300)이 주어진다. 체스판의 크기는 l × l이다. 체스판의 각 칸은 두 수의 쌍 {0, ..., l-1} × {0, ..., l-1}로 나타낼 수 있다. 둘째 줄과 셋째 줄에는 나이트가 현재 있는 칸, 나이트가 이동하려고 하는 칸이 주어진다. 출력 :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나이트가 최소 몇 번만에 이동할 수 있는.. 2024. 4. 3.
[프로그래머스] 숫자 변환하기 (C++) 숫자 변환하기 / Lv.2 문제 설명 ) 자연수 x를 y로 변환하려고 합니다. 사용할 수 있는 연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x에 n을 더합니다 x에 2를 곱합니다. x에 3을 곱합니다. 자연수 x, y,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x를 y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연산 횟수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이때 x를 y로 만들 수 없다면 -1을 return 해주세요. 제한 사항 ) 1 ≤ x ≤ y ≤ 1,000,000 1 ≤ n 2023. 10. 25.
[백준] 2194번 : 유닛 이동시키기 (C++) 2194번 : 유닛 이동시키기 문제) 스타크래프트와 같은 게임을 하다 보면 어떤 유닛을 목적지까지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편의상 맵을 N×M 크기의 2차원 행렬로 생각하자. 또한 각각의 유닛은 크기를 가질 수 있는데, 이를 A×B 크기의 2차원 행렬로 생각하자. 아래는 5×5 크기의 맵과 2×2 크기의 유닛에 대한 한 예이다. S는 시작점을 나타내며 E는 끝점을 나타낸다. 유닛은 상하좌우의 네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다. 단, 유닛의 일부분이 장애물이 설치된 부분(위의 예에서 색이 칠해진 부분)을 지날 경우, 위의 예에서는 시작 위치에서 위로 이동하는 경우는 허용되지 않는다. 위의 예는 유닛을 오른쪽으로 세 칸, 위쪽으로 세 칸 움직이면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고, 이 경우가 가장 적은 이.. 2023. 10. 4.
[백준] 14940번 : 쉬운 최단거리 (C++) 14940번 : 쉬운 최단거리 문제) 지도가 주어지면 모든 지점에 대해서 목표지점까지의 거리를 구하여라. 문제를 쉽게 만들기 위해 오직 가로와 세로로만 움직일 수 있다고 하자. 입력 : 지도의 크기 n과 m이 주어진다. n은 세로의 크기, m은 가로의 크기다.(2 ≤ n ≤ 1000, 2 ≤ m ≤ 1000) 다음 n개의 줄에 m개의 숫자가 주어진다. 0은 갈 수 없는 땅이고 1은 갈 수 있는 땅, 2는 목표지점이다. 입력에서 2는 단 한개이다. 출력 : 각 지점에서 목표지점까지의 거리를 출력한다. 원래 갈 수 없는 땅인 위치는 0을 출력하고, 원래 갈 수 있는 땅인 부분 중에서 도달할 수 없는 위치는 -1을 출력한다. 풀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 2023. 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