튜플 / Lv.2
문제 설명 )
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tuple)이라고 합니다.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튜플(n-tuple)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a1, a2, a3, ..., an)
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ex : (2, 3, 1, 2)
-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 ex : (1, 2, 3) ≠ (1, 3, 2)
-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
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a1, a2, a3, ..., an)이 주어질 때(단, a1, a2, ..., an은 자연수),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 '}'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a1}, {a1, a2}, {a1, a2, a3}, {a1, a2, a3, a4}, ... {a1, a2, a3, a4, ..., an}}
예를 들어 튜플이 (2, 1, 3, 4)인 경우 이는
- {{2}, {2, 1}, {2, 1, 3}, {2, 1, 3, 4}}
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때,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
- {{2}, {2, 1}, {2, 1, 3}, {2, 1, 3, 4}}
- {{2, 1, 3, 4}, {2}, {2, 1, 3}, {2, 1}}
- {{1, 2, 3}, {2, 1}, {1, 2, 4, 3}, {2}}
는 모두 같은 튜플 (2, 1, 3, 4)를 나타냅니다.
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
- s의 길이는 5 이상 1,000,000 이하입니다.
- s는 숫자와 '{', '}', ','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 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 s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 5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 )
입출력 예 설명 )
입출력 예 #1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3
(111, 20)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111}, {111,20}}이 되며, 이는 {{20,111},{111}}과 같습니다.
입출력 예 #4
(123)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123}} 입니다.
입출력 예 #5
(3, 2, 4, 1)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3},{3,2},{3,2,4},{3,2,4,1}}이 되며, 이는 {{4,2,3},{3},{2,3,4,1},{2,3}}과 같습니다.
풀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set>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string s) {
vector<int> answer;
vector<vector<int>> vec;
// 문자열 s를 vector화 시킴
vector<int> temp;
string word = "";
for(int i = 0; i < s.length(); i++)
{
if (s[i] == ',' && word.length() != 0)
{
temp.push_back(stoi(word));
word = "";
}
else if (s[i] >= '0' && s[i] <= '9')
{
word += s[i];
}
else if(s[i] == '}' && word.length() != 0)
{
temp.push_back(stoi(word));
vec.push_back(temp);
temp = vector<int> ();
word = "";
}
}
// vec을 크기순으로 정렬함.
// 뒤에 사용된 []는 C++의 임시 함수인 람다함수.
sort(vec.begin(), vec.end(), [](const vector<int> &a, const vector<int> &b) {
return a.size() < b.size();
});
set<int> used_number;
for(auto &ele: vec)
{
for(auto &ele2: ele)
{ // used_number에서 못 찾았을 경우
// 새로운 수이므로, used_number에 넣어주고 answer에도 넣어준다.
if(used_number.find(ele2) == used_number.end())
{
used_number.insert(ele2);
answer.push_back(ele2);
}
}
}
return answer;
}
|
cs |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4065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Develop > 프로그래머스 (Cp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연속 부분 수열 합의 개수 (C++) (0) | 2023.03.24 |
---|---|
[프로그래머스] n^2 배열 자르기 (C++) (0) | 2023.03.24 |
[프로그래머스] [1차] 캐시 (C++) (1) | 2023.03.23 |
[프로그래머스] 위장 (C++) (0) | 2023.03.23 |
[프로그래머스] 행렬의 곱셈 (C++) (0)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