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77번: 알람 시계
문제)
상근이는 매일 아침 알람을 듣고 일어난다. 알람을 듣고 바로 일어나면 다행이겠지만, 항상 조금만 더 자려는 마음 때문에 매일 학교를 지각하고 있다.
상근이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보았지만, 조금만 더 자려는 마음은 그 어떤 것도 없앨 수가 없었다.
이런 상근이를 불쌍하게 보던, 창영이는 자신이 사용하는 방법을 추천해 주었다.
바로 "45분 일찍 알람 설정하기"이다.
이 방법은 단순하다. 원래 설정되어 있는 알람을 45분 앞서는 시간으로 바꾸는 것이다. 어차피 알람 소리를 들으면, 알람을 끄고 조금 더 잘 것이기 때문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매일 아침 더 잤다는 기분을 느낄 수 있고, 학교도 지각하지 않게 된다.
현재 상근이가 설정한 알람 시각이 주어졌을 때, 창영이의 방법을 사용한다면, 이를 언제로 고쳐야 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
첫째 줄에 두 정수 H와 M이 주어진다. (0 ≤ H ≤ 23, 0 ≤ M ≤ 59) 그리고 이것은 현재 상근이가 설정한 놓은 알람 시간 H시 M분을 의미한다.
입력 시간은 24시간 표현을 사용한다. 24시간 표현에서 하루의 시작은 0:0(자정)이고, 끝은 23:59(다음날 자정 1분 전)이다. 시간을 나타낼 때, 불필요한 0은 사용하지 않는다.
출력 :
첫째 줄에 상근이가 창영이의 방법을 사용할 때, 설정해야 하는 알람 시간을 출력한다. (입력과 같은 형태로 출력하면 된다.)
풀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time = input()
time = time.split(" ")
time = list(map(int, time))
hour = []
for i in range(0, 24):
hour.append(i)
minute = []
for i in range(0, 60):
minute.append(i)
if time[1] < 45:
time[1] = minute[time[1]-45]
if time[0] == 0:
time[0] = hour[time[0]-1]
else:
time[0] = time[0] - 1
else:
time[1] = time[1] - 45
print("%d %d" %(time[0], time[1]))
|
cs |
생각보다 어려웠던..? 문제
시간이 0 밑으로 내려가면 23이나, 59부터 빼는 것은 값을 hour나 minute의 리스트를 이용해서 해결했고,
그 외 다른 것들은 이중 if문을 이용해서 해결했다.
++라고 위와 같이 해결했는데 코드를 보면서 다시 복기 해보니 위 코드를 더 간단히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time = input()
time = time.split(" ")
time = list(map(int, time))
hour = []
for i in range(0, 24):
hour.append(i)
minute = []
for i in range(0, 60):
minute.append(i)
if time[1] < 45:
time[1] = minute[time[1]-45]
time[0] = hour[time[0]-1]
else:
time[1] = minute[time[1]-45]
print("%d %d" %(time[0], time[1]))
|
cs |
2중 if문 없이 더 간결해진 모습.
'Develop > 백준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920번: 음계 (python) (0) | 2022.01.08 |
---|---|
[백준] 2908번: 상수 (python) (0) | 2022.01.08 |
[백준] 2753번: 윤년 (python) (0) | 2022.01.08 |
[백준] 2742번: 기찍 N (python) (0) | 2022.01.08 |
[백준] 2741번: N 찍기 (python) (0) | 2022.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