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63번: 색종이
문제 )
평면에 색깔이 서로 다른 직사각형 모양의 색종이 N장이 하나씩 차례로 놓여진다. 이때 색종이가 비스듬하게 놓이는 경우는 없다. 즉, 모든 색종이의 변은 서로 평행하거나, 서로 수직이거나 둘 중 하나이다. 그림-1은 1번, 2번, 3번 세 장의 색종이가 순서대로 놓인 상태를 보여준다.
![](https://blog.kakaocdn.net/dn/O74Un/btrs4Oly6tU/q0Elq9VVBZhqIsX0iSdIx1/img.png)
여기에 그림-2에서 보인 것처럼 4번 색종이가 하나 더 놓이면 3번 색종이는 완전히 가려서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1번 색종이와 2번 색종이는 부분적으로 가려 보이며, 4번 색종이는 완전히 보이게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lEJi3/btrs9hTP2fP/InQiGqpSkE3ZufMeOwrKRk/img.png)
N장의 색종이가 주어진 위치에 차례로 놓일 경우, 각 색종이가 보이는 부분의 면적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
입력의 첫 번째 줄에는 색종이의 장수를 나타내는 정수 N (1 ≤ N ≤ 100)이 주어진다. 이어서 N장의 색종이에 관한 입력이 각 색종이마다 한 줄씩 차례로 주어진다. 색종이가 놓이는 평면은 가로 최대 1001칸, 세로 최대 1001칸으로 구성된 격자 모양이다. 격자의 각 칸은 가로, 세로 길이가 1인 면적이 1인 정사각형이다.
편의상 가로 6칸, 세로 6칸으로 이루어진 격자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각 칸에 표시된 값 (a,b)는 해당 칸의 번호를 나타낸다. 가장 왼쪽 아래의 칸은 (0,0) 가장 오른 쪽 위의 칸은 (5,5)이다.
색종이가 놓인 상태는 가장 왼쪽 아래 칸의 번호와 너비, 높이를 나타내는 네 정수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위 그림에서 회색으로 표시된 색종이는 (1,4)가 가장 왼쪽 아래에 있고 너비 3, 높이 2이므로 1 4 3 2로 표현한다. 색종이가 격자 경계 밖으로 나가는 경우는 없다.
출력 :
입력에서 주어진 순서에 따라 N장의 색종이를 평면에 놓았을 때, 입력에서 주어진 순서대로 각 색종이가 보이는 부분의 면적을 한 줄에 하나씩 하나의 정수로 출력한다. 만약 색종이가 보이지 않는다면 정수 0을 출력한다.
풀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 좌표를 미리 만들어 둠
li = [[0]*1001 for i in range(1001)]
T = int(input())
for _ in range(T):
x, y, a, b = 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x, x + a):
li[i][y:y + b] = [_ + 1] * b
# 시간을 줄이기 위해 하나씩 하지 않고, 한줄씩 바꿈
for paper in range(T):
cnt = 0
for i in li:
cnt += i.count(paper + 1)
print(cnt)
|
cs |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0163
10163번: 색종이
평면에 색깔이 서로 다른 직사각형 모양의 색종이 N장이 하나씩 차례로 놓여진다. 이때 색종이가 비스듬하게 놓이는 경우는 없다. 즉, 모든 색종이의 변은 서로 평행하거나, 서로 수직이거나 둘
www.acmicpc.net
'Develop > 백준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3300번: 방 배정 (python) (0) | 2022.02.12 |
---|---|
[백준] 2605번: 줄 세우기 (python) (0) | 2022.02.12 |
[백준] 10158번: 개미 (python) (0) | 2022.02.12 |
[백준] 2477번: 참외밭 (python) (0) | 2022.02.12 |
[백준] 2578번: 빙고 (python) (0) | 2022.02.11 |